알면 좋은 일상 상식

자동차(휘발유 모델) 시동 안걸릴 때 점검사항

으니노 2024. 3. 19. 19:24

 자동차는 우리에게 많은 편의를 제공하는 만큼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특히 출근길이나 급히 움직여야할 때 갑자기 차량의 시동이 걸리지 않는다면 그만큼 우리에게 당혹감을 안겨줄 수가 없다.  대부분 소모품에 대한 관리 소흘로 일어나는 일이니 각별히 조심하는게 좋다. 물론 추운 겨울이 지나고 요즘 출시된 차들의 경우 그런 일이 전무할 수 있으나 그래도 지속적인 관심을 통해 작은 병을 크게 키우는 일이 없도록 바란다.


 

1. 배터리 방전

 배터리는 차량의 전기(전자) 부품에 대한 전원을 공급해줄 뿐만 아니라 에어컨이나 히터 등 차량에서 사용되는 전기의 발전 용량(자동차는 주행 시 발전기를 통해 전기를 자체적으로 생산하며 이를 통해 배터리의 충전, 전기(전자) 부품의 전기를 공급해준다)을 초과하는 용량에 대해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초기 시동 시 스파크를 발생시켜 시동이 걸릴 수 있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배터리 방전은 블랙박스, 장기간의 미운행, 차량 내부전등 켜짐, 무시동 상태의 전자 부품 이용(시동 안켜고 차안에서 노래 듣고 있으면 배터리 방전된다.) 등 다양한 영향에 의해 발생된다. 특히 추운 겨울철이 되면 배터리 방전이 잘되는데 이는 배터리 내부의 전해액에 의한 현상으로 자동차 배터리 뿐만 아니라 모든 배터리에 해당되는 사항이다. 

 

 자동차 배터리는 크게 12V, 24V 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일반적인 승용차는 대부분 12V이다. 하지만 요즘 자동차의 기능이 늘어나 차종에 따라 적용되는 배터리가 각각 다름으로 자신의 차량에 맞는 배터리 용량 등의 사양을 잘 파악하고 있는게 중요하다.(사실 카센터나 배터리마트 등 방문하면 알아서 잘 교체해준다.)

 

 배터리의 교체 주기는 일반적으로 3년 정도로 생각하면 된다. 만약 배터리가 완전 방전된다면 스마트키를 사용하는 자동차는 문이 열리지 않는다 즉 근처에 다가가도 사이드미러가 열리는 등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 이때 보험회사의 도움(흔히 점프 뛴다고 표현한다.)을 통해 시동을 건 후 가까운 카센터를 방문해 배터리 점검 및 교체를 진행하면 된다. 만약 배터리 교체 비용(배터리 교체 비용은 배터리의 종류, 용량, 어디서 교체하는지에 따라 다르다)이 부담스럽다면 점검을 통해 배터리의 수명을 측정할 수 있으며(핸드폰이랑 똑같다.) 점검 해주시는 분의 의견을 수렴해서 교체 여부를 선택해도 된다.

이미지 출처, 로케트 온라인

 

2. 점화플러그(코일)

 

 점화플러그는 차량에 공급된 혼합가스(공기와 연료)를 점화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점화플러그는 차량 내부 실린더에 장착되며 실린더의 갯수(흔히들 얘기하는 6기통, 8기통 같은... 6기통의 경우 6개 8기통은 8개의 점화플러그가 필요)에 따라 장착 개수가 정해지며 종류에 따라 일반(3만km), 백금계8만km), 이리듐계(16만km)로 나뉘며 적용 소재에 따라 가격이 상승하나 교체 수명 역시 증가하게 된다.

 

만약 점화플러그가 불량 혹은 교체가 필요하다면 시동 불량, 연비 감소, 주행 능력 하락 등의 자동차 성능 저하가 온다.

 

 
이미치 출처, 쿠팡 보쉬 점화플러그
 

 

3. 스로틀 밸브

 

마지막으로 영향을 미치는 부분은 스로틀 밸브라는 부품으로 자동차의 흡기를 담당하는 부품이다.

스로틀 밸브는 바깥의 공기(산소, 하지만 공기 중 산소만 걸러서 흡입하지는 않는다)를 흡입하여 자동차로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만약 스로틀 밸브 문제로 인해 월활한 흡기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다면 시동 불량, 변속 시 시동꺼짐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처음 시동 걸 때 진동과 함께 rpm 널뛰기도 한다.)

 

이 스로틀 밸브의 관리방법은 교체, 클리닝 두가지 방법이 있다. 특히 스로틀 밸브에 낀 카본 때들은 스로틀 밸브가 원활하게 작동할 수 없게 한다. 차량 정비소에서는 약 5만km에 한번씩 청소를 권장하기도 한다.

 

 

 

 

만약 겨울철 시동 불량 시 배터리에 문제가 없다면 스로틀 밸브에 끼인 때로 인해 현상일 수 있으므로 클리닝을 한번 해보시길 추천한다.

 

대체로 증상은

 

     1) 아침 시동 불량

     2)기어 변속 시 시동꺼짐

     3)엑셀 밟으면 시동 걸림

 


사실 차량은 운전자의 습관이나 주행환경에 상당히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권장 교체 시기가 있더라도 무조건적으로 적용되지는 않는다. 더군다나 각 고장에 대한 증상이 파츠 별로 크게 다르지 않는 경우가 많아 전문가가 아닌 이상 제대로 판별하기가 어려우니 문제가 발생한다면 꼭 가까운 정비소를 방문하여 문제를 진단해보길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