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면 좋은 과학상식 (6) 썸네일형 리스트형 27. 전기방사를 이용한 섬유 제조 방법 전기방사 (Electrospinning)란? 1) 전기방사의 이론 - 용융된 고분자나 고분자 용액에 고압 직류를 가해 직조(섬유 제조)하는 방법 중 하나로 Nano Scale(수십~수백 nm)의 섬유 제조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소재에 적용하여 비교적 간단하게 섬유를 뽑아낼 수 있어 생체 재료, 필터, 센서, 이차전지, 방호복, 전자소자 등 다양한 응용분야에 적용 가능하다. - 전기 방사 시스템은 용액을 분사할 수 있는 시린지 펌프를 비롯하여 고전압 공급 장치, 방적 돌기, 콜렉터로 구성된다. 고전압 공급 장치의 전극은 각각 노즐 팁과 콜랙터에 연결되는데 이렇게 되면 상호간의 전기적 작용 아래 방사된 섬유들이 콜랙터(집전판)에 모여들게 된다. - 또한 0 ~ 30kV의 고 전압이 노즐 팁(고분자 용액.. 탄소 배출권 제도 1. 탄소배출권 시장의 개요 탄소배출권이란 이산화탄소(CO2), 메탄(CH4), 아산화질소(N2O), 과불화탄소(PFCs), 수소불화탄소(HFC), 육불화황(SF6)의 6대 온실가스에 대한 배출 권리를 의미하며 국제연합 기후변화협약(UNFCCC)를 통해 관리되고 있다. 현재 국내 탄소배출권은 석탄, 시멘트, 발전소 등 특정 기업에 대해서 시행되고 있으며 온실가스 감축 의무가 부여되고 있으며 관련 프로세스는 아래의 그림과 같다. 만약 탄소배출권에 의해 감축의무를 부여 받는다면 크게 상쇄제도나 외부사업을 통해 배출권을 확보하거나 남는 배출권에 대한 판매가 가능하게 되는데 여기서 상쇄 제도란 국제적 기준에 부합한 방식으로 온실가스를 감축(흡수 혹은 제거)하는 것을 의미한다. 2. 탄소배출권의 거래 만약 온실가.. 3. 전자 현미경 1편. 주사 전자 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광(빛)을 광원으로 이용하는 광학 현미경과는 다르게 전자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전자현미경은 빛(가시광선 : 200 ~ 750 nm) 대신 파장이 더욱 짧은 전자(0.6nm)를 광원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광학 현미경에 비해 훨씬 더 고분해능을 가지며 이를 통해 물체 물체(샘플)의 표면의 형상이나 크기 등을 더욱 더 잘 관찰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이다. 전자 현미경은 전자의 사용 방법에 따라 주사 전자현미경(SEM, Scanning Electron Micro scope)와 투과전자 현미경(TEM, Transmission Electron Micro Scope)으로 구분된다. 전자 현미경은 전자총을 이용하여 시료에 전자를 주사, 전자빔과 시료간의 상호작용(시편 원자의 k-궤도에서 전자와의 비탄성 충돌로 인해 2차전.. 프로젝트의 효과적 일정 관리, 간트차트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완수하려면 정확하고 투명한 일정 관리가 필수이다. 이 때 간트 차트(Gantt Chart)는 프로젝트 관리에 큰 도움을 주는 강력한 시각화 도구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1. 간트 차트의 역사 간트 차트는 1910년대 초기 헨리 L. 간트(Henry L. Gantt)가 개발한 것으로 과제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간트 차트를 처음 도입했으며 그는 간트 차트를 통해 작업의 순서, 기간, 리소스 할당 등을 표시하고 진행 상황을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게 하여 프로젝트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만들었다. 2. 간트 차트의 구성 요소 1) 작업(Task) : 간트차트의 가장 기본적인 구성 요소로 프로젝트에서 수행해야할 특정 활동이나 일을 표시 2) 시간 축.. 탄소 포집 기술의 종류 온실가스에 의한 지구 온난화 문제는 꾸준히 주목 받고 있으며 그 중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이산화탄소에 대한 포집 기술이 최근에 와서 이슈화되고 있다. (현재까지 집계된 결과, 이산화탄소가 온실효과 중 약 60%를 차지하고 있다 보고 있다) 이산화탄소 포집은 기술에 따라 흡수법, 흡착법, 막분리법으로 나눌 수 있으며 포집 시기에 따라 연소 전 포집, 연소 후 포집, 순 산소 연소법(연소 중 포집), 대기 중 직접 포집으로도 구분할 수 있다. 가. 포집 기술에 따른 구분 1) 흡수법 :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으로 배기가스 내 이산화탄소를 용액 흡수제로 흡수하여 분리시키는 방법이다. 대용량 연소 후 배출가스를 처리하는데 용이하며 이산화탄소 농도 변화에 대한 적용성이 크다는 장점이 있으나 흡수제를 재생하는.. 2. 온실가스 그리고 지구온난화 지구 온난화 (Global Warming, 최근 경각심을 올리기 위해 Global Boiling으로도 표현)는 온실가스에 의한 온실효과에 의한 현상으로 그 문제는 이미 20세기부터 꾸준히 제기되고 있었으며 이제는 그 문제가 단순히 나라나 단체의 문제가 아닌 각 개인의 문제로써 인류의 피부에 와닿고 있다. 그럼 온실가스란 무엇이며 늘어나는 온실가스에 의해 어떤 문제가 발생한다는 것일까. 온실가스는 지표면에서 방출되는 지구복사 에너지를 흡수하거나 재방출하는 기체상태의 물질로 대표적으로는 교토의정서를 통해 지정된 6대 온실가스가 있다. 명칭 화학식 발생 경위 지구온난화지수 (Global Warming Potential) 이산화탄소 CO2 화학연료 등의 연소 등 1 메탄 CH4 가축 사육, 음식물 쓰레기, 쓰레.. 이전 1 다음